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밝혔다.
메르츠 총리는 이날 독일 ZDF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안에 휴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희망은 포기하지 않지만 환상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전쟁을 끝내려 노력 중이지만, 우크라이나의 항복을 대가로 전쟁을 종결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독일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우크라이나 군이 자국을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르츠 총리는 지난딜 18일 워싱턴을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및 유럽 정상들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우크라이나의 안전보장 문제를 논의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직접 통화한 직후, 메르츠 총리는 "푸틴과 젤렌스키가 2주 안에 만날 가능성에 동의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조기 정상회담 가능성을 부정하고 군사 공세를 강화하면서, 메르츠 총리는 회담 성사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28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는 "트럼프-푸틴 간 논의와 달리, 젤렌스키-푸틴 회담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내 서방 군대 주둔 가능성에 대해 메르츠 총리는 "현재로선 지상군 파병을 논의하지 않고 있다"며, 군사적 개입보다는 광범위한 안전보장 체계 마련이 우선이라고 언급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유럽 각국이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을 위해 군대 배치 계획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동유럽 순방 중 국방장관들과 만난 자리에서 상당히 구체적인 파병 계획이 논의됐다"고 전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파병 여부는 각국의 주권적 결정이며,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영국, 프랑스, 에스토니아가 안전보장군 파병 의사를 밝힌 가운데, 미국은 지상군 투입에 선을 긋고 있다. 반면 러시아는 나토(NATO) 회원국 군대의 우크라이나 주둔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FT는 EU 집행위원장, 나토 사무총장, 독일·프랑스·영국 정상 등이 오는 4일 프랑스 파리에 모여 우크라이나 문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